월만즉휴(月滿則虧) - 달이 차면 반드시 이지러지다.

- Posted in 고사성어 by

enter image description here

월만즉휴(月滿則虧) - 달이 차면 반드시 이지러지다.

월만즉휴(月滿則虧) - 달이 차면 반드시 이지러지다.

[달월(月-0) 찰만(氵-11) 곧즉(刂-7) 이지러질 휴(虍-11)]

밤의 어둠을 밝혀주는 달은 이태백이 놀고, 옥토끼가 산다고 동요에서 노래할 정도로 우리에겐 사랑받았다. 농경생활을 영위했던 전통 한국사회에서 그만큼 달은 생명의 기준이며 생활의 원점을 이뤄왔다. 초승달에서 반달로 다시 보름달로 끊임없이 이어져, 만월이 되었더라도 곧 이지러지는 것을 알았다. 이 지혜를 본받아 곧잘 인생의 성쇠를 일러주는 비유로 삼는다.

누구나 흥얼거리던 1950년대 가요 '노랫가락 차차차'에도 '노세 노세 젊어서 놀아/ 늙어지면은 못 노나니/ 화무는 십일홍이요/ 달도 차면 기우나니라'로 가수 황정자가 노래한다.

무슨 일이든 절정에 달한 뒤에는 쇠퇴하게 된다는 많은 성어 중에서 가장 친숙한 달이 차면 이지러진다는 이 성어는 '史記(사기)'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范雎蔡澤(범저채택)열전에서다. 범저의 雎는 물수리 저인데 睢(물이름 수)와 비슷하여 오랫동안 통용됐으나 雎(저)로 통일됐다. 범저는 魏(위)나라 사람이고 채택은 燕(연)나라 사람으로 모두 고향에서 고생하다 秦(진)나라에 들어와 빛을 보게 됐다. 범저는 달변으로 昭王(소왕)의 신임을 얻어 재상의 자리에 올랐다.

탄탄한 권력을 누릴 즈음 채택이 찾아와 슬슬 속을 뒤집었다. 지금 안락하게 지내는 범저가 商君(상군)이나 吳起(오기) 등의 공적에 미치지 못하면서도 왕의 신뢰와 총애는 더 많이 받아 봉록과 재산이 그들보다 능가하는데 지금 물러나지 않는다면 필시 더 큰 화가 기다릴 뿐이라며 일러준다. '속담에 해가 중천에 오르면 서쪽으로 기울고 달도 차면 이지러진다고 했습니다. 사물이 극에 달하면 점차 쇠퇴해지는 것은 천지간의 이치입니다(日中則移 月滿則虧 物盛則衰 天地之常數也/ 일중즉이 월만즉휴 물성즉쇠 천지지상수야).' 범저는 옳다고 여겨 채택을 천거하고 병을 핑계로 물러났고 재상이 된 채택도 뒤에 스스로 물러나 평안한 말년을 보냈다. / 제공 : 안병화(前언론인, 한국어문한자회)

▷ 재미있는 역사이야기 역사야 놀자 => http://app.danolja.co.kr/app.php